다양한 버전의 신화를 찾아내는 재미는 쏠쏠합니다. 또 하나의 몽골신화를 보겠습니다.
신화에는 의례적으로 선함과 악함을 상징하는 신들이 있기 마련인데요 몽골의 신도 다르지 않습니다. 그러나 선과 악의 신들이 이원론적인 상징를 하는 것만은 아니라고 다른 신화에서 언급한 적이 있습니다.
이번에도 비슷한 이름들의 신들이 등장합니다.
'텡게르'는 천신이며 세상을 창조한 신으로 또 다른 이름은 '보르항'입니다. 다른 한 편엔 악신인 '추트구르' 다른 이름으로는 '숄마스'가 나옵니다.
신화의 세계는 신들이 경계가 선과 악을 대변하는 것이 확실한 것인지 아니면 그 경계가 모호한 것인지에 따라 이야기가 조금씩 달라지기도 하는데 몽골의 경우는 일반적인 선악의 경계가 모호하다고 한 내용을 이미 위에서 말했습니다.
세상이 생겨나기 전에 탱게르, 하리한 , 슈드헤르 세명의 신이 이미 존재했는데 이 세 신은 세상을 함께 만들려고 합니다. 슈드헤르는 바다 먼곳으로 가 흙을 가져오고 세 신은 함께 열심히 흙으로 평평한 세상을 만들기 시작합니다.
드디어 매끈한 세상이 되자 슈드헤르는 그동안 일한 자기몫을 달라했고 탱게르는 막대기를 꽂을 땅만을 주게 됩니다. 조그마한 땅을 받고 화가나지 않을 수 밖에 없었겠죠 화가난 슈드헤르는 그 땅에 막대기를 꽂아버리는데 구멍이 생겨버린 곳에서 벌레들이 나옵니다.
탱게르는 불꼬챙이로 구멍을 틀어막아 벌레를 나오지 못하게 했지만 이미 나온 벌레들을 어쩌지 못했습니다.
신화의 이야기의 얼개를 보면 세 신이 힘을 합쳐 세상을 창조한 것은 맞으며 그 역할에 따라 탱게르는 하늘의 신, 흙을 가져온 슈드헤르는 땅, 혹은 지하세계의 신으로 보고 있습니다.
슈드헤르는 추트구르의 사투리이름으로 보고 있고 추트구르는 이미 악의 신인 것으로 보아 창조과정에서 제 몫을 못받은 불만으로 벌레를 만들게 함과 동시에 창조신의 불공정을 항의하고 있다고 봅니다
몽골 신화의 창조과정을 볼때 관점을 다르게 해서 보면 악한 속성도 결국은 창조신 때문일 수도 있다는 뜻이 되어 버립니다.
함께보기
'돌아보는 신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도네시아 자바섬 신화 (0) | 2024.11.22 |
---|---|
몽골신화의 거북이와 한국의 토끼와 거북이 이야기 (0) | 2024.11.21 |
몽골신화 몽골비사 거북이 사람 개 (2) | 2024.11.18 |
헝가리신화 마고르 마자르족 (0) | 2024.11.17 |
페르시아신화 아후라마즈다, 앙그라마이뉴 조로아스터교 (6) | 2024.11.15 |
댓글